
2025 WSL
시흥 코리아 오픈
국제 서핑대회
선수소개
Men’s Shortboard
Kyan Yang

- 이름: Kyan Yang (카이안 양)
- 국적: 한국계 미국인
- 출신지: 캘리포니아 엔시니타스 (Encinitas, California)
- 생년월일: 2004년 11월 5일 (현재 만 20세)
- 가족: 아버지가 그의 멘토이자 코치, 그리고 가장 큰 지지자라고 합니다.
- 어린 시절: 어릴 때는 서핑을 싫어하고 스케이트보드를 매우 좋아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학교 때 친구들의 권유로 서핑 클럽에 참여하게 되면서 서핑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거의 서핑만 하고 스케이트보드는 한동안 타지 않았다고 하네요.
- ➡ 23년 시흥QS3000에서 2위 입상
- ➡ 도산 안창호 독립운동가의 외손주, 필립 안 커디의 후원을 통해 한국 대회에 참여하게 됨
- ➡ 미국 주니어 국가대표팀
- 서핑 스타일
-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서핑 스타일과 독특한 보드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빠르고 민첩하며 파워풀한 기술을 구사하며, 에어 게임(공중 기술)도 뛰어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국가대표
- 미국 주니어 국가대표팀의 일원입니다.
- 주요 대회
- World Surf League (WSL) 주니어 투어와 남자 퀄리파잉 시리즈 (QS)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 최근 성적 (WSL):
-
- 2025/2026 시즌 Men's QS 랭킹 49위 (1개 대회 참가)
- 2024/2025 시즌 Men's QS 랭킹 38위 (3개 대회 참가)
- 2023/2024 시즌 Men's QS 랭킹 37위 (5개 대회 참가)
- 2025년 1월 SLO CAL Open at Pismo Beach 대회에서 5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Xavier Huxtable

- 출생: 2002년 6월 14일(현재 23세)
- 고향: 토키(Torquay), 빅토리아 주(Victoria), 호주
- 홈 클럽: 토키 보드라이더스 클럽(Torquay Boardriders Club)
- 가장 존경하는 선수: 믹 패닝(Mick Fanning)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 현 CS랭킹 7위
- ➡ 이번 대회 참가자 중 가장 랭킹이 가장 높음
- ➡ 24-25시즌 랭킹 2위
- 2025년 필립 아일랜드 프로 QS 3,000 우승
- 2025년 3월 필립 아일랜드 프로 WSL 퀄리파잉 시리즈(QS) 3,000 이벤트에서 우승했습니다. 이 대회 결승에서 친구인 Tully Wylie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로인해 2025년 WSL 챌린저 시리즈에 진출했습니다.
- 2022년 립컬 프로 URBNSURF 우승
- 2022년 호주 웨이브 풀에서 열린 첫 WSL 퀄리파잉 시리즈 이벤트인 립컬 프로 URBNSURF QS1000에서 우승했습니다.
- 2023년 립컬 프로 벨스 비치에서 이변
- 2023년 립컬 프로 벨스 비치에서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11회 세계 챔피언 켈리 슬레이터 (Kelly Slater)와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잭 로빈슨 (Jack Robinson)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 GromSearch 국제 결승 우승
- 2018년 뉴질랜드 마누 베이에서 열린 GromSearch 국제 결승에서 우승하며 세계 최고의 주니어 서퍼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 대회 준결승에서는 10점 만점과 9.25점을 기록하며 거의 완벽한 히트 점수 19.25점을 달성했습니다.
- 빅토리아 주 오픈 챔피언
- 2022년 필립 아일랜드 프로에서 빅토리아 주 오픈 스테이트 챔피언에 올랐습니다.
- 완벽한 20점 기록
- 2024년 니아스 프로 QS5000에서 두 번의 10점 만점 파도를 잡아 완벽한 20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WSL 역사상 4인 히트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기록한 것 중 하나입니다.
- 다재다능한 운동선수
- 어릴 적부터 서핑 외에도 호주 풋볼 (AFL)과 스노보딩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겼으며, 이러한 경험이 그의 서핑 스타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강력한 백핸드 서핑
- 특히 백핸드 서핑에 강점을 보이며, 파워풀하고 정교한 기술을 구사합니다.
Jarvis Earle

- 출생: 2004년 8월 8일(현재 20세)
- 출생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크로눌라(Cronulla, NSW, Australia)
- 국적: 호주
- 활동 시작: 2021년
- 주요 특징: 크로눌라 해변에서 오랫동안 매끄러운 스타일, 진보적인 에어 게임, 그리고 전염성 있는 미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세계 주니어 서핑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 현 CS 랭킹 15위
- ➡ 2022 WSL월드주니어 챔피언
- 2022 WSL 월드 주니어 챔피언
- 2022년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WSL 월드 주니어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주니어 서핑 최고 영예를 안았습니다. 결승전에서 미국 선수 Levi Slawson을 상대로 거의 완벽한 9.5점을 기록했습니다. 이 우승으로 2023년 챌린저 시리즈 출전권을 획득했습니다.
- 수상 경력
- 호주 주니어 챔피언십, 호주 오픈 오브 서핑, Skullcandy Oz Grom Open 타이틀 등 다양한 대회에서 우승했습니다.
- 2023년 NSW 올해의 젊은 선수 후보
- 19세의 나이에 NSW 올해의 젊은 선수 후보에 오르며 서핑계뿐만 아니라 스포츠 전반에서 인정을 받았습니다.
- 가족 배경
- 서퍼 가족 출신이며 해변 근처에서 자랐습니다.
- 플레이 스타일
- 강력하고 정교한 백핸드 공격과 함께 기본기, 레이백, 에어 게임의 조합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 성장 배경
- 크로눌라의 다양한 파도와 서핑 커뮤니티가 그를 월드 주니어 챔피언으로 성장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릴 때부터 나이 많은 서퍼들과 함께 거친 파도에서 서핑하며 실력을 키웠다고 합니다.
- 최근 활동
- 2024년에도 WSL 퀄리파잉 시리즈 (QS)와 챌린저 시리즈 (CS)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특히 2024년 크루이 프로 QS 5000에서 우승했습니다.
Riaru Ito

- 출생지: 미야자키(Miyazaki), 일본
- 국적: 일본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선호 브랜드: Carve, Quiksilver, Warner Surfboards
- 2023년 오마에자키 프로 QS 1,000 우승
- 2023년 일본 시즈오카현 오마에자키 해변에서 열린 WSL 퀄리파잉 시리즈 (QS) 1000 이벤트에서 우승했습니다. 이 대회 결승에서 일본의 베테랑 서퍼 Hiroto Ohhara를 꺾고 커리어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파이프라인 목표
- 현재 더 큰 파도를 추구하고 있으며, 파이프라인 (Pipeline)에서 자신의 흔적을 남기는 것이 인생 목표 중 하나라고 합니다.
- 경력 시작
- 2015년부터 주니어 서핑 대회에 참가했으며, 2019년에는 일본에서 열린 Ichinomiya Chiba Open QS 6,000 대회에서 혁신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였습니다.
- 최근 활동
- 2024년 대만 오픈 오브 서핑 QS 대회에 참가했으며, 2025년 WSL 챌린저 시리즈 (CS)에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Keijiro Nishi

- 출생: 1999년 11월 7일(현재 25세)
- 국적: 일본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홈 브레이크(주로 서핑하는 곳): 미야자키(Miyazaki), 일본
- ➡ 2023 WSL 시흥 QS3000대회 우승
- 2023년 Asia Open 우승
- 2023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시아 오픈 (Asia Open) 대회에서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이 대회는 WSL 아시아 투어의 주요 이벤트 중 하나입니다.
- 2023년 Nias Pro QS5000 3위
- 인도네시아 니아스에서 열린 WSL 퀄리파잉 시리즈 (QS) 5000 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 WSL 챌린저 시리즈 (CS) 참가
- 2024년 챌린저 시리즈에 참가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서퍼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특히 QS와 CS 투어에서 꾸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챔피언십 투어 (CT)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강력한 포핸드
- 파워풀한 포핸드 턴과 리엔트리 기술이 그의 강점으로 꼽힙니다.
- 경력 시작
- 미야자키에서 성장하며 어린 시절부터 서핑을 시작했습니다. 일본 국내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국제 무대로 진출했습니다.
- 꾸준한 노력
- 세계 무대에서 경쟁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실력을 향상시키고 있는 선수로 평가됩니다.
Bronson Meydi

- 출생지: 숨바와(Sumbawa) 레이키 피크(Lakey Peak) 마을, 인도네시아
- 국적: 인도네시아(호주인 아버지와 인도네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남)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주요 특징: 부드러운 스타일, 진보적인 에어 서핑 기술, 그리고 카리스마 넘치는 미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용하고 겸손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성장 배경: 세계적인 파도가 있는 레이키 피크에서 자랐으며, 어릴 때부터 최고의 서퍼들이 파도 타는 것을 보며 성장했습니다.
- 멘토십: 인도네시아 서핑계의 선구자인 리잘 탄중(Rizal Tandjung)의 멘토링을 받으며 발리에서 실력을 향상시켰습니다.
- ➡ Cs 랭킹 27위
- 2024 WSL 월드 주니어 챔피언
- 2025년 1월 필리핀에서 열린 2024 WSL 월드 주니어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역사상 최초로 인도네시아인으로서 WSL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결승전에서 완벽한 10점 만점 파도를 포함해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 2025 챌린저 시리즈 진출
- 월드 주니어 챔피언십 우승으로 2025 WSL 챌린저 시리즈 출전권을 획득했습니다.
- WSL 챔피언십 투어(CT) 와일드카드 출전
- 월드 주니어 챔피언십 우승 후 2025년 월드 챔피언십 투어(CT)의 아부다비 프로에 와일드카드로 출전했습니다. 이는 그의 첫 CT 이벤트였습니다.
- 어린 나이부터 주목
- 11세, 13세, 15세에 이미 세계 최고의 유망주 서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습니다.
- 다재다능한 플레이
- 발리의 동부 해안에서 에어 기술을 선보이거나, 부킷 반도에서 튜브 라이딩을 하는 등 다재다능한 서핑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홈인 레이키 피크에서도 뛰어난 실력을 보여줍니다.
- 목표
- 인도네시아 최초의 챔피언십 투어(CT) 서퍼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Dylan Wilcoxen

- 출생: 2009년 5월 1일(현재 16세)
- 국적: 인도네시아
- 출생지: 인도네시아 파당(Padang), 멘타와이 제도(Mentawai Islands)에 거주
- 주요 특징: 유연한 스타일, 진보적인 에어 서핑 기술, 그리고 특히 **튜브 라이딩(배럴 서핑)**에 탁월한 재능을 보입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능숙한 10대 미만 튜브 라이더"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예의 바르고 겸손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성장 배경: 캘리포니아 출신 아버지(Kandui Resort 공동 소유주)와 인도네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세계 최고 수준의 파도를 자랑하는 멘타와이 제도의 Kandui Resort에서 자랐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서핑 환경에 노출되어 자연스럽게 실력을 키웠습니다.
- 교육: 홈스쿨링을 받고 있습니다.
- 별명: All Day Dylan
- ➡ 직전 QS6000 Nias 우승자
- 2025년 Nias Pro QS 6,000 우승
- 2025년 6월 인도네시아 니아스에서 열린 WSL 퀄리파잉 시리즈(QS) 6,000 이벤트에서 우승했습니다. 이는 그의 첫 QS 6,000 타이틀이며, 2023년 리오 와이다(Rio Waida) 이후 니아스 프로에서 우승한 최초의 인도네시아인이 되었습니다.
- 2025년 Nias Pro Junior 우승
- QS 6,000 우승 이틀 후, 같은 대회에서 주니어 부문 우승을 추가하며 "백투백 (연속) 우승"의 기염을 토했습니다.
- GromSearch 인도네시아 내셔널 결승 우승
- 2023년 립컬 그롬서치 인도네시아 내셔널 결승에서 우승했습니다.
- BL Blast-Off GoPro 비디오 챌린지 우승
- 2021년, 2022년, 2023년 3년 연속으로 BL Blast-Off GoPro 비디오 챌린지에서 자신의 연령대 부문에서 우승했습니다.
- 어린 나이부터의 수상 경력
- 9살 때 16세 미만 선수들과 겨루는 첫 대회에 출전하여 우승하며 상금을 획득했습니다.
- 독특한 환경
- 멘타와이 제도의 칸두이 리조트에 영구 거주하며, 사람으로 붐비지 않는 완벽한 파도에 항상 접근할 수 있는 독특한 환경에서 훈련합니다. 이로 인해 때로는 "지루함"을 느끼기도 하여, 자세를 바꿔 튜브 라이딩을 하거나 엉덩이로 파도 타는 등 색다른 시도를 하기도 합니다.
- 미래 목표
- 전문 서퍼가 되어 전 세계를 여행하며 새로운 파도를 타고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John Mark Tokong

- 출생지: 필리핀 시아르가오(Siargao), 제너럴 루나(General Luna)
- 국적: 필리핀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특히 배럴 라이딩(튜브 라이딩)
- 별명: 마라마(Marama)
- 특징: 시아르가오의 파도에 대한 깊은 이해와 뛰어난 튜브 라이딩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강력한 홈 브레이크 이점, 그리고 공중 기동까지 소화하는 다재다능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 ➡ 필리핀 랭킹 1위
- 필리핀 최고의 서퍼:
- 필리핀 서핑 랭킹에서 오랫동안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명실상부한 필리핀 서핑의 간판입니다.
- 시아르가오 클라우드 9 서핑컵 다수 우승:
- 그의 고향인 시아르가오의 상징적인 파도인 클라우드 9에서 열리는 WSL 퀄리파잉 시리즈(QS)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2015년 Siargao Cloud 9 Surfing Cup 우승
- 2019년 Siargao Cloud 9 Surfing Cup 우승(하와이의 Noah Beschen을 꺾고 우승)
- 2021/2022년 Siargao International Surfing Cup 우승
- 2022/2023년 Siargao International Surfing Cup 우승
- 2023년 Siargao International Surfing Cup 우승 (백투백 우승)
- WSL 챌린저 시리즈 진출:
- 필리핀 서퍼로는 최초로 WSL 챌린저 시리즈 (Challenger Series)에 진출하며 국제 무대에서 필리핀 서핑의 위상을 높였습니다.
- 2023/2024 La Union International Pro QS 우승:
- 2024년 1월 필리핀 라 유니온에서 열린 QS 3000 대회에서 우승하며 홈그라운드에서의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 "Wave Whisperer" (파도의 속삭임) 별명:
- 클라우드 9과 같은 복잡하고 위험한 파도에서 보여주는 그의 뛰어난 이해도와 컨트롤 능력 덕분에 '파도의 속삭임'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 시아르가오 서핑의 얼굴:
- 그가 이룬 국제적인 성공은 시아르가오를 세계적인 서핑 명소로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많은 젊은 필리핀 서퍼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 강렬한 클라우드 9 퍼포먼스:
- 특히 클라우드 9의 깊은 튜브 안으로 들어가 완벽하게 빠져나오거나, 위험한 파도 위에서 대담한 에어 기동을 선보이는 그의 모습은 전 세계 서핑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2019년 우승 당시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18.75점, 19.05점)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Kanoa Hee-Jae Palmiano

- 이름: 카노아 희재(Kanoa Hee-Jae)
- 생년월일: 2007년 12월 4일(현재 만 17세)
- 국가대표 경력: 2년 연속 월드 서핑 게임(World Surfing Games)에 출전하는 등 한국 서핑 국가대표팀의 일원입니다.
- ➡ 현 대한민국 국가대표
- WSL 성적(Men's Qualifying Series 기준)
-
- 2023/2024 시즌 랭킹 71위(2개 이벤트 참가, 956점)
- 2022/2023 시즌 랭킹 162위(1개 이벤트 참가, 150점)
- 주요 대회 성적
-
- Siheung Korea Open QS3,000(2023/2024 시즌): 13위
- Chiba Ichinomiya Open(2023/2024 시즌): 65위
- 카노아 희재는 아직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국제 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한국 서핑의 미래를 이끌어갈 유망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Women’s Shortboard
Nara Lee

- 이름: 이나라
- 국적: 대한민국
- 주요 종목: 서핑 쇼트보드(다양한 기술을 구사하며 파도를 안정적으로 타는 것을 점수화하는 경기 방식)
- 가족 관계: 어머니는 한국 1세대 서퍼이자 부산 송정에서 국내 최초 서핑 스쿨을 운영한 '서미희' 씨입니다. 이런 환경 덕분에 이나라는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서핑을 접했습니다.
- 어린 시절: 어머니의 영향으로 학교가 끝나면 매일 서핑 훈련을 했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서핑이 인생의 전부이자 좋은 친구였다고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습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7년부터 서핑 국가대표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여러 국제 대회에서 한국을 대표해 출전했습니다.
- 소속팀
- 2021년 5월 시흥시체육회가 국내 최초로 창단한 서핑 실업팀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훈련 비용 부담을 덜고 시흥 웨이브파크와 같은 인공 서핑장에서 훈련하며 기량을 갈고닦고 있습니다.
- 훈련
- 쇼트보드는 화려하지만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날씨에 상관없이 꾸준히 연습하고 있습니다. 파도가 충분히 쳐야만 할 수 있는 서핑의 특성상 인도네시아 발리, 호주 등 해외로 훈련을 다니기도 합니다.
- WSL(World Surf League) 성적
- 현재까지 WSL 공식 웹사이트에서 이나라 선수의 구체적인 랭킹이나 최근 성적 정보는 직접적으로 확인되지 않지만, 국가대표로서 꾸준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Jahly stokes

- 출생: 2006년 6월 15일(현재 18세)
- 국적: 호주
- 고향: 카와나 비치(Kawana Beach), 퀸즐랜드(Queensland), 호주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가족 배경: 그녀의 어머니 Denby Stokes는 뛰어난 아이언우먼(Iron-woman) 선수이며, 오빠들도 서핑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는 등 수상 스포츠에 재능 있는 가족 출신입니다.
- 특징: 강력한 퍼포먼스와 더불어 뛰어난 주니어 성적을 바탕으로 WSL(World Surf League) 퀄리파잉 시리즈(QS) 및 월드 주니어 챔피언십에서 두각을 나 타내고 있습니다.
- 2025 WSL 월드 주니어 타이틀 진출
- 2025년 월드 주니어 챔피언십에 출전권을 확보하며 세계 최고의 주니어 서퍼들과 경쟁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 2024년 호주 프로 주니어 서핑 시리즈 우승
- 2024년 10월, 호주 프로 주니어 서핑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시즌을 보냈습니다. 이 시즌 동안 5개 이벤트 중 3개에서 포디움(상위권)에 올랐습니다.
- 2022년 Oakberry Gold Coast Pro Junior 우승
- 2022년 골드 코스트에서 열린 이 대회에서 그녀의 첫 WSL 주니어 대회 우승을 기록했습니다.
- 2023년 Lake Mac City Pro Junior 우승
- 2023년에도 Lake Mac City Pro Junior에서 우승하며 주니어 대회에서의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 WSL QS 랭킹 상위권
- 퀄리파잉 시리즈(QS) 랭킹에서 상위권에 머물며 WSL 챔피언십 투어(CT)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2026 시즌 QS 랭킹 4위권에 오르는 등 꾸준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Hyundai She's Electric 프로그램
- 서핑 호주와 현대자동차가 지원하는 여성 서퍼 발굴 프로그램인 'Hyundai She's Electric'의 첫 두 시즌 우승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동기 부여
- 이사벨라 니콜스(Isabella Nichols)와 같은 선배 여성 서퍼들의 활약을 보며 영감을 받고 챔피언십 투어에 진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 가족의 영향
- 어릴 때부터 해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서핑을 한 것이 가족의 스포츠 성공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합니다. 국제 대회에 오빠들과 함께 참여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Charlie Lately

- 출생: 2009년 6월 19일(현재 16세)
- 국적: 호주
- 고향: 버레이 헤즈(Burleigh Heads), 퀸즐랜드(Queensland), 호주(이전에는 컬럼빈(Currumbin) 에서도 거주)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스탠스: 구피(Goofy - 오른발이 보드의 앞에 오는 자세)
- 특징: 강력하고 다재다능한 서핑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버레이 헤즈와 같은 포인트 브레이크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입니다. 어릴 때부터 일관성 있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꿈: 프로 서퍼가 되는 것이 꿈이며, 음악 활동에도 관심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 존경하는 서퍼: 카리사 무어(Carissa Moore)와 가브리엘 메디나(Gabriel Medina)를 존경합니다.
- ➡ 직전 QS6000 Nias 2위
- 2025/2026 WSL QS 랭킹 2위
- 현재 WSL 퀄리파잉 시리즈(QS) 2025/2026 시즌 랭킹에서 2위를 기록하며 챌린저 시리즈(CS)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2025년 Nias Pro QS 6,000 2위
- 2025년 6월 인도네시아 니아스에서 열린 WSL QS 6,000 대회에서 2위를 차지하며 커리어 최고의 QS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 2024년 Siargao International Surfing Cup QS 5,000 2위
- 필리핀 시아르가오에서 열린 WSL QS 5,000 대회에서도 2위를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2025년 Gold Coast Open QS 1,000 2위
- 2025년 2월, 고향인 골드 코스트에서 열린 QS 1,000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ISA 월드 주니어 서핑 챔피언십 호주 대표
- 2024년 ISA 월드 주니어 서핑 챔피언십에서 호주 대표팀으로 선발되어 엘살바도르에서 경쟁했습니다.
- 퀸즐랜드 U14 챔피언
- 2021년 퀸즐랜드 U14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주니어 대회에서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 빠른 성장
- 경쟁 서핑 경력이 2년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도 이미 퀸즐랜드 U14 챔피언십 우승과 U16 와일드카드를 획득하는 등 빠른 성장을 보여주었습니다.
- 강점
- 큰 프론트사이드/백사이드 스냅과 강한 핵(hacks)을 즐겨하며, 에어 리버스 기술을 익히는 데도 열정적입니다.
Natalie Fensom

- 국적: 호주
- 고향: 퀸즐랜드(Queensland) 주 골드 코스트(Gold Coast)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스탠스: 구피(Goofy - 오른발이 보드의 앞에 오는 자세)
- 호주 서퍼 **나탈리 펜섬(Natalie Fensom)**은 현재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젊은 여성 서퍼입니다. 그녀는 특히 주니어 서핑과 퀄리파잉 시리즈(QS) 대회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호주 서핑계의 떠오르는 재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2024년 Burleigh Heads Gold Coast Open QS 1,000 우승
- 2024년 2월, 그녀의 고향인 골드 코스트에서 열린 Burleigh Heads Gold Coast Open에서 WSL 퀄리파잉 시리즈(QS) 1,000 대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이 우승은 그녀의 커리어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 2024년 WSL 아시아 투어 참가
- 이 우승을 발판 삼아 아시아 투어에도 참여하여, 2024년 인도네시아 바투 카라스(Batu Karas)에서 열린 WSL Batu Karas Pro QS 5,000 대회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 2024년 Nias Pro QS 5,000 준결승 진출
- 인도네시아 니아스에서 열린 QS 5,000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며 강한 경쟁력을 보여주었습니다.
- 주니어 서핑에서의 활약
- 주니어 레벨에서도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내왔으며, 이는 그녀가 퀄리파잉 시리즈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기반이 되었습니다.
- 강점
- 파워풀한 턴과 파도에 대한 뛰어난 이해도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서핑을 구사합니다. 특히 백핸드 기술이 인상적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 성장
- 골드 코스트의 세계적인 파도에서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뛰어난 실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 나탈리 펜섬은 현재 WSL 퀄리파잉 시리즈 랭킹에서 꾸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챌린저 시리즈(CS) 진출과 궁극적으로는 챔피언십 투어(CT)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앞으로의 활약이 더욱 기대됩니다.
Paige Hareb

- 출생: 1990년 6월 6일(현재 35세)
- 국적: 뉴질랜드
- 고향: 오아쿠라 비치(Ōakura Beach), 타라나키(Taranaki), 뉴질랜드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스탠스: 구피(Goofy - 오른발이 보드의 앞에 오는 자세)
- 별명: PGO(Paige-o) 또는 Paigey
- 특징: 강력한 백핸드 서핑과 경험에서 나오는 노련한 경기 운영이 강점입니다. 오랫동안 WSL 투어에서 활약하며 꾸준함을 보여주었습니다.
- 뉴질랜드 여성 최초 WSL 월드 투어 진출:
- 2008년 12월, ASP (현 WSL) Women's World Tour에 뉴질랜드 여성 최초로 출전 자격을 얻는 역사를 만들었습니다. 이후 2009년부터 2014년까지 6년 연속 월드 투어에서 활동했습니다.
- WSL 월드 투어 상위 랭킹:
- 2009년 월드 투어에서 전체 8위를 기록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습니다. 2010년 9위, 2012년 10위 등 꾸준히 상위권에 머물렀습니다.
- 2022 Nias Pro QS 5,000 우승:
- 2022년 인도네시아 니아스에서 열린 WSL 퀄리파잉 시리즈 5,000 이벤트에서 우승하며 건재함을 과시했습니다.
- 2023 Nias Pro QS 5,000 2위:
- 2023년에도 니아스 프로에서 2위를 차지하며 뛰어난 경기력을 이어갔습니다.
- ISA 월드 서핑 게임즈 준우승:
- 2019년 일본에서 열린 ISA 월드 서핑 게임즈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뉴질랜드 팀의 순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 켈리 슬레이터 서프 랜치 파운더스 컵 우승 팀 멤버:
- 2018년, 켈리 슬레이터의 인공 파도 풀에서 열린 Founders Cup에서 '월드 팀'의 일원으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다재다능한 운동선수:
- 어린 시절부터 농구, 축구, 스키 등 다양한 스포츠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지만, 결국 서핑을 선택했습니다.
- 멘탈 강점과 끈기:
- 코치들은 그녀의 정신력과 강한 끈기를 뉴질랜드 서핑 문화에서 부족한 부분으로 꼽으며 칭찬합니다.
- 은퇴 후 활동:
- 현재는 서핑 커리어를 이어가는 동시에, 서핑 관련 브랜드의 홍보대사로 활동하거나 치매를 앓고 있는 할머니와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알츠하이머 인식 개선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SurfAid 뉴질랜드 이사회에 합류하여 서핑 커뮤니티 지원에 더욱 전념하고 있습니다.
- 페이지 헤어렙은 뉴질랜드 서핑의 개척자이자 오랜 기간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며 많은 후배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는 선수입니다.
Saffi Vette

- 출생: 2001년(현재 24세)
- 국적: 뉴질랜드
- 고향: 기스본(Gisborne), 뉴질랜드(마코로리 비치에서 주로 훈련)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스탠스: 레귤러 (Regular - 왼발이 보드의 앞에 오는 자세)
- 특징: 강력한 퍼포먼스와 뛰어난 파도 읽기 능력을 지녔으며, 개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얻은 강한 정신력이 돋보입니다.
- 파리 2024 올림픽 출전 확정
- 2023년 엘살바도르에서 열린 ISA 월드 서핑 게임즈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2024 파리 올림픽(타히티 테아후포오에서 서핑 경기 개최) 출전권을 획득했습니다. 이는 그녀의 첫 올림픽 출전입니다.
- 2021년 뉴질랜드 오픈 서핑 챔피언
- 19세의 나이에 뉴질랜드 내셔널 서핑 챔피언십 오픈 여성 부문에서 우승하며 국내 최고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 이 승리는 그녀의 서핑 멘토이자 4개월 전 세상을 떠난 아버지에게 바치는 감동적인 순간이었습니다.
- WSL 챌린저 시리즈 진출
- 2024년 WSL 챌린저 시리즈 출전권을 확보하며 세계 최고의 서퍼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 2019년 호주 걸스 프로 주니어 파이널 우승
- 호주에서 열린 주니어 대회에서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서도 일찍이 재능을 인정받았습니다.
- 개인적인 역경 극복
- 아버지의 죽음: 2020년 아버지 앤디 베테(Andy Vette)를 암으로 잃었습니다. 앤디는 유명한 서퍼이자 그녀의 코치이자 멘토였으며, 사피가 서핑을 시작하고 계속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습니다. 그녀는 아버지의 유산을 기리고자 더욱 열심히 서핑에 임하고 있습니다.
- 난독증 진단 및 학교 생활의 어려움: 학창 시절 난독증 진단을 받아 학업에 어려움을 겪었고, 스포츠 재능 때문에 또래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이 그녀를 더욱 강하게 만들었으며, "학교는 나를 위한 곳이 아니었다"고 말하며 서핑에 집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 자금 부족: 올림픽 출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재정적 어려움도 겪었으나, 지역 비즈니스와 지지자들의 도움으로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 강한 정신력
-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긍정적인 태도와 끈기를 잃지 않으며 "어떤 어려움이 있든 터널 끝에는 빛이 있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 가족의 영향
- 서핑에 대한 사랑은 가족으로부터 물려받았으며, 어린 시절부터 해변에서 가족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남동생 핀(Finn) 또한 서퍼로 활동하며 함께 대회에 출전하기도 합니다.
- 사피 베테는 뛰어난 서핑 실력뿐만 아니라, 역경을 딛고 일어선 감동적인 스토리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선수입니다. 그녀의 2024 파리 올림픽에서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Nanaho Suzuki

- 국적: 일본
- 고향: 미야자키(Miyazaki), 일본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일본 서퍼 **나나호 츠즈키(Nanaho Tsuzuki)**는 일본 여성 서핑계에서 떠오르는 유망주 중 한 명입니다. 그녀는 특히 주니어 레벨과 WSL 퀄리파잉 시리즈(QS)에서 꾸준히 좋은 성과를 보여주며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 2023년 Nias Pro QS 5,000 준결승 진출
- 인도네시아 니아스에서 열린 WSL 퀄리파잉 시리즈 5,000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며 국제 무대에서 자신의 기량을 선보였습니다.
- 2023년 Asia Open QS 3,000 준결승 진출
-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Asia Open에서도 준결승에 오르는 등 2023년은 그녀에게 성공적인 시즌이었습니다.
- 2022년 Ichinomiya Chiba Open QS 1,000 우승
- 2022년 일본 지바에서 열린 WSL 퀄리파잉 시리즈 1,000 대회에서 우승하며 QS 무대에서 첫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 주니어 서핑에서의 활약
- 주니어 레벨에서부터 주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며 꾸준히 상위권에 랭크되었습니다. 이는 그녀가 성인 무대인 QS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 강점
- 파도 위에서 유연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여주며, 특히 빠른 스피드와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는 능력이 돋보입니다.
- 성장 배경
- 일본의 유명한 서핑 명소 중 하나인 미야자키에서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서핑 실력을 키웠습니다.
- 나나호 츠즈키는 현재 WSL 퀄리파잉 시리즈 랭킹에서 경쟁하며, 챌린저 시리즈(CS)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일본 서핑의 미래를 이끌어갈 중요한 선수 중 한 명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Anon Matsuoka

- 국적: 일본
- 고향: 미야자키(Miyazaki), 일본
- 주요 종목: 숏보드 서핑
- 일본 서퍼 **마츠오카 아논(Anon Matsuoka)**은 일본의 떠오르는 젊은 여성 서퍼 중 한 명으로, 특히 주니어 서핑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녀는 차세대 일본 서핑을 이끌어갈 재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2023년 Asia Open QS 3,000 준결승 진출
-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Asia Open WSL 퀄리파잉 시리즈(QS) 3,000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며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 2023년 Nias Pro QS 5,000 5위
- 인도네시아 니아스에서 열린 QS 5,000 대회에서 5위를 기록하는 등, 2023년 한 해 동안 여러 QS 대회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는 그녀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 2023년 Ichinomiya Chiba Open QS 1,000 3위
- 일본 지바에서 열린 QS 1,000 대회에서도 3위를 차지하며 홈그라운드에서도 강한 면모를 보였습니다.
- 주니어 서핑에서의 뛰어난 활약
- 일찍이 주니어 레벨에서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여러 일본 및 아시아 주니어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그녀의 주니어 경험은 QS 투어에서 활약하는 데 큰 기반이 되었습니다.
- 강점
- 파워풀하면서도 유연한 움직임을 동시에 보여주며, 특히 빠른 스피드와 다양한 기술을 안정적으로 구사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 성장 배경
- 일본의 주요 서핑 스팟 중 하나인 미야자키에서 성장하여, 좋은 파도 환경에서 실력을 연마할 수 있었습니다.
- 마츠오카 아논은 현재 WSL 퀄리파잉 시리즈 랭킹에서 경쟁하며, 챌린저 시리즈(CS) 진출과 더 나아가 챔피언십 투어(CT)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일본 서핑의 미래를 밝게 할 유망주로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Total No. | Entry Order | Entry No. | name | country |
---|---|---|---|---|
1 | QS6,000 Men's Event | 1 | Meydi,Bronson | INA |
2 | QS6,000 Men's Event | 2 | Nishi,Keijiro | JPN |
3 | QS6,000 Men's Event | 3 | Huxtable,Xavier | AUS |
4 | QS6,000 Men's Event | 4 | Ito,Riaru | JPN |
5 | QS6,000 Men's Event | 5 | Berry,Oscar | AUS |
6 | QS6,000 Men's Event | 6 | Azuchi,Joh | JPN |
7 | QS6,000 Men's Event | 7 | Earle,Jarvis | AUS |
8 | QS6,000 Men's Event | 8 | Wylie,Tully | AUS |
9 | QS6,000 Men's Event | 9 | Heazlewood,Reef | AUS |
10 | QS6,000 Men's Event | 10 | Reginato,Alister | AUS |
11 | QS6,000 Men's Event | 11 | Oooto,Rinta | JPN |
12 | QS6,000 Men's Event | 12 | Martin,Kian | SWE |
13 | QS6,000 Men's Event | 13 | Agus,Ketut | INA |
14 | QS6,000 Men's Event | 14 | Iwami,Tenshi | JPN |
15 | QS6,000 Men's Event | 15 | Suzuki,Jin | JPN |
16 | QS6,000 Men's Event | 16 | Watanabe,Ikko | JPN |
17 | QS6,000 Men's Event | 17 | Stokes,Taj | AUS |
18 | QS6,000 Men's Event | 18 | Tokong,John Mark | PHL |
19 | QS6,000 Men's Event | 19 | Curotta,Axel | AUS |
20 | QS6,000 Men's Event | 20 | Arai,Hiroto | JPN |
21 | QS6,000 Men's Event | 21 | Satriawan,Made Joi | INA |
22 | QS6,000 Men's Event | 22 | Harrison,Marlon | AUS |
23 | QS6,000 Men's Event | 23 | Onou,Raiha | JPN |
24 | QS6,000 Men's Event | 24 | Clements,Kobi | AUS |
25 | QS6,000 Men's Event | 25 | Suda,Kyoshiro | JPN |
26 | QS6,000 Men's Event | 26 | Henry,Dane | AUS |
27 | QS6,000 Men's Event | 27 | Thomas,Dom | AUS |
28 | QS6,000 Men's Event | 28 | Kanazawa,Roi | JPN |
29 | QS6,000 Men's Event | 31 | Yang,Kyan | USA |
30 | QS6,000 Men's Event | 32 | Hee-Jae,Kanoa | KOR |
31 | QS6,000 Men's Event | 33 | Bryce,Xavier | AUS |
32 | QS6,000 Men's Event | 34 | Inaba,Reo | JPN |
33 | QS6,000 Men's Event | 35 | Reber,Saxon | AUS |
34 | QS6,000 Men's Event | 36 | Widianto,Dhany | INA |
35 | QS6,000 Men's Event | 37 | Tandjung,Varun | INA |
36 | QS6,000 Men's Event | 38 | Assink,Zane | AUS |
37 | QS6,000 Men's Event | 39 | Hasson,Eden | AUS |
38 | QS6,000 Men's Event | 40 | Miwa,Hiroya | JPN |
39 | QS6,000 Men's Event | 41 | Smith,Lennix | AUS |
40 | QS6,000 Men's Event | 42 | Mori,Yuji | JPN |
41 | QS6,000 Men's Event | 43 | Falvey,Kyan | AUS |
42 | QS6,000 Men's Event | 44 | Thomas,Jack | AUS |
43 | QS6,000 Men's Event | 45 | Wilcoxen,Dylan | INA |
44 | QS6,000 Men's Event | 46 | Nagasawa,Yuma | JPN |
45 | QS6,000 Men's Event | 47 | Arkfeld,Noah | PHL |
46 | QS6,000 Men's Event | 48 | Droomer,Willis | AUS |
47 | QS6,000 Men's Event | 49 | Hagita,Taichi | JPN |
48 | QS6,000 Men's Event | 50 | Clayton-Brown,Mike | AUS |
49 | QS6,000 Men's Event | 51 | Masuda,Raiki | JPN |
50 | QS6,000 Men's Event | 52 | Williams,Bohdie | AUS |
51 | QS6,000 Men's Event | 53 | Horikoshi,Riki | JPN |
52 | QS6,000 Men's Event | 54 | Nishi,Yuji | JPN |
53 | QS6,000 Men's Event | 55 | Okano,Ren | JPN |
54 | QS6,000 Men's Event | 56 | Jenner,Ash | AUS |
55 | QS6,000 Men's Event | 57 | Noro,Kairi | JPN |
56 | QS6,000 Men's Event | 58 | Occhilupo,Jay | AUS |
57 | QS6,000 Men's Event | 59 | Sakai,Sentaro | JPN |
58 | QS6,000 Men's Event | 60 | Ryssenbeek,Oliver | AUS |
59 | QS6,000 Men's Event | 61 | Kanazawa,Taki | JPN |
60 | QS6,000 Men's Event | 62 | Lorentson,Ben | AUS |
61 | QS6,000 Men's Event | 63 | Carvalho,Thomas | AUS |
62 | QS6,000 Men's Event | 64 | Hongo,Takuya | JPN |
63 | QS6,000 Men's Event | 65 | Bain,Tim | AUS |
64 | QS6,000 Men's Event | 66 | Walters,Harley | AUS |
65 | QS6,000 Men's Event | 67 | Sato,Riki | JPN |
66 | QS6,000 Men's Event | 68 | Killorn,Koda | AUS |
67 | QS6,000 Men's Event | 69 | Fujimoto,Sein | JPN |
68 | QS6,000 Men's Event | 70 | Alciso,Jayuard | PHL |
69 | QS6,000 Men's Event | 71 | Espejon,Troy | PHL |
70 | QS6,000 Men's Event | 72 | Richardson,Ty | AUS |
71 | QS6,000 Men's Event | 73 | Komatsu,Riki | JPN |
72 | QS6,000 Men's Event | 74 | Wake,Shotaro | JPN |
73 | QS6,000 Men's Event | 75 | Uno,Masamune | JPN |
74 | QS6,000 Men's Event | 76 | Castro,Raphael | USA |
75 | QS6,000 Men's Event | 77 | Yamanaka,Kaiki | JPN |
76 | QS6,000 Men's Event | 78 | Stokes,Zeb | AUS |
77 | QS6,000 Men's Event | 79 | Okamura,Kosuke | JPN |
78 | QS6,000 Men's Event | 80 | Tancred,Caleb | AUS |
79 | QS6,000 Men's Event | 81 | Inoue,Ryuichi | JPN |
80 | QS6,000 Men's Event | 82 | Iwase,Yuya | JPN |
81 | QS6,000 Men's Event | 83 | Alipayo,Philmar | PHL |
82 | QS6,000 Men's Event | 84 | Espejon,Toby | PHL |
83 | QS6,000 Men's Event | 85 | Oguri,Aoi | JPN |
84 | QS6,000 Men's Event | 86 | Osumi,Yuito | JPN |
85 | QS6,000 Men's Event | 87 | Nishida,Hiroto | JPN |
86 | QS6,000 Men's Event | 88 | Matsuno,Taro | JPN |
87 | QS6,000 Men's Event | 89 | Yoneyama,Subaru | JPN |
88 | QS6,000 Men's Event | 90 | Jushin,Osakabe | JPN |
89 | QS6,000 Men's Event | 91 | Kinoshita,Haruki | JPN |
90 | QS6,000 Men's Event | 92 | Wau,Irawan | INA |
91 | QS6,000 Men's Event | 94 | Yun,Dohoon | KOR |
92 | QS6,000 Men's Event | 95 | Jung,Ui Jong | KOR |
93 | QS6,000 Men's Event | 96 | Jun,Seohyun | KOR |
94 | QS6,000 Men's Event | 97 | Kubota,Kanta | JPN |
95 | QS6,000 Men's Event | 98 | Zhuo,Qui | CHN |
96 | QS6,000 Men's Event | 99 | Bealing,Karl | AUS |
97 | QS6,000 Men's Event | 100 | Tomoshige,Riki | JPN |
98 | QS6,000 Men's Event | 101 | Wilcoxen,Jayden | INA |
99 | QS6,000 Men's Event | 102 | Hurt,Baxter | AUS |
100 | QS6,000 Men's Event | 103 | Abrahams,Josh | AUS |
101 | QS6,000 Men's Event | 104 | Suneya,Rintaro | JPN |
102 | QS6,000 Men's Event | Margieson,Micah | AUS | |
103 | QS6,000 Men's Event | Saito,Kanta | JPN | |
104 | QS6,000 Men's Event | Kurokawa,Kaito | JPN | |
105 | QS6,000 Men's Event | Kobayashi,Kei | JPN | |
106 | QS6,000 Men's Event | Levey,Joshua | JPN | |
107 | QS6,000 Men's Event | Kamiyama,Keanu | JPN | |
108 | QS6,000 Men's Event | Nishi,Shuji | JPN | |
109 | QS6,000 Men's Event | Aoki,Kanoa | JPN | |
110 | QS6,000 Men's Event | Nonaka,Shuma | JPN | |
111 | QS6,000 Men's Event | Tandjung,Sinar | INA | |
112 | QS6,000 Men's Event | Sanchez,Neil | PHL | |
113 | QS6,000 Men's Event | Jin,Mok | KOR | |
114 | QS6,000 Men's Event | Yang,Jinhyuk | KOR | |
115 | QS6,000 Men's Event | Ichikawa,Kosuke | JPN | |
116 | QS6,000 Men's Event | Kim,Geunwoo | KOR | |
117 | QS6,000 Men's Event | Joung,Yong Jick | KOR | |
118 | QS6,000 Men's Event | Bormann,Raul | BRA | |
119 | QS6,000 Men's Event | Yiguang,Li | CHN | |
120 | QS6,000 Men's Event | Fuller,Austin | USA | |
121 | LQS 1000 Men's Event | 1 | Casogay,Roger | PHL |
122 | LQS 1000 Men's Event | 2 | Akimoto,Shohei | JPN |
123 | LQS 1000 Men's Event | 3 | Tsukamoto,Masaya | JPN |
124 | LQS 1000 Men's Event | 4 | Taoka,Ryohei | JPN |
125 | LQS 1000 Men's Event | 5 | Villanueva,Crisanto | PHL |
126 | LQS 1000 Men's Event | 6 | Chapman,Sitipong | THA |
127 | LQS 1000 Men's Event | 7 | Ishii,Noa | JPN |
128 | LQS 1000 Men's Event | 8 | Kikuchi,Riki | JPN |
129 | LQS 1000 Men's Event | 9 | Widianto,Dhany | INA |
130 | LQS 1000 Men's Event | 10 | Hou,Mingcai | CHN |
131 | LQS 1000 Men's Event | 11 | ||
132 | LQS 1000 Men's Event | 12 | Dongkyun,Kim | KOR |
133 | LQS 1000 Men's Event | 13 | Sudena,Ivan | INA |
134 | LQS 1000 Men's Event | 14 | Nerida,Benito | PHL |
135 | LQS 1000 Men's Event | 15 | Yuan,Cheng Chih | TPE |
136 | LQS 1000 Men's Event | 16 | Hee-Jae,Kanoa | KOR |
137 | LQS 1000 Men's Event | 19 | Lee,Jaeyoung | KOR |
138 | LQS 1000 Men's Event | 20 | Kim,Jaehyun | KOR |
139 | LQS 1000 Men's Event | Kang,Hoon | KOR | |
140 | LQS 1000 Men's Event | Krisna Raditya,I Gede | INA | |
141 | LQS 1000 Men's Event | Kim,Honghwan | KOR | |
142 | LQS 1000 Men's Event | Terafuji,Yuu | JPN | |
143 | LQS 1000 Men's Event | O'Brien,Harry | AUS | |
144 | LQS 1000 Men's Event | Doctolero,Marven | PHL | |
145 | LQS 1000 Men's Event | Lopez,Rj Chico | PHL | |
146 | LQS 1000 Men's Event | Lopez,Warren | PHL | |
147 | LQS 1000 Men's Event | Dela Torre,Jefferson | PHL | |
148 | QS6,000 Women's Event | 1 | Tsuzuki,Nanaho | JPN |
149 | QS6,000 Women's Event | 2 | Matsuoka,Anon | JPN |
150 | QS6,000 Women's Event | 3 | Stokes,Jahly | AUS |
151 | QS6,000 Women's Event | 4 | Ikeda,Mirai | JPN |
152 | QS6,000 Women's Event | 5 | Nakashio,Kana | JPN |
153 | QS6,000 Women's Event | 6 | Wakita,Sara | JPN |
154 | QS6,000 Women's Event | 7 | Hareb,Paige | NZL |
155 | QS6,000 Women's Event | 8 | Vette,Saffi | NZL |
156 | QS6,000 Women's Event | 9 | Sato,Sumomo | JPN |
157 | QS6,000 Women's Event | 10 | Hately,Charli | AUS |
158 | QS6,000 Women's Event | 11 | Matsuda,Shino | JPN |
159 | QS6,000 Women's Event | 12 | Nonaka,Minami | JPN |
160 | QS6,000 Women's Event | 15 | Lee,Nala | KOR |
161 | QS6,000 Women's Event | 16 | Sujeong,Im | KOR |
162 | QS6,000 Women's Event | 17 | Prumm,Freya | AUS |
163 | QS6,000 Women's Event | 18 | Suzuki,Rita | JPN |
164 | QS6,000 Women's Event | 19 | Dos Santos,Anne | BRA |
165 | QS6,000 Women's Event | 20 | Shimizu,Hinata | JPN |
166 | QS6,000 Women's Event | 21 | Hardy,Olive | AUS |
167 | QS6,000 Women's Event | 22 | Matsuno,Anri | JPN |
168 | QS6,000 Women's Event | 23 | Maniwa,Sai | JPN |
169 | QS6,000 Women's Event | 24 | Lorentson,Gia | AUS |
170 | QS6,000 Women's Event | 25 | Matsuyama,Renon | JPN |
171 | QS6,000 Women's Event | 26 | Hurst,Charli | AUS |
172 | QS6,000 Women's Event | 27 | Studer,Jasmine | INA |
173 | QS6,000 Women's Event | 28 | Shimizu,Hinano | JPN |
174 | QS6,000 Women's Event | 29 | Bourke,Amelie | AUS |
175 | QS6,000 Women's Event | 30 | Campbell,Isi | AUS |
176 | QS6,000 Women's Event | 31 | Kawai,Minori | JPN |
177 | QS6,000 Women's Event | 32 | Heuer,Kya | INA |
178 | QS6,000 Women's Event | 33 | Hata,Haine | JPN |
179 | QS6,000 Women's Event | 34 | Jabrik,Hanasuri | INA |
180 | QS6,000 Women's Event | 35 | Trew,Ruby | AUS |
181 | QS6,000 Women's Event | 36 | Zeflin,Aura | INA |
182 | QS6,000 Women's Event | 37 | Green,Tayla | NZL |
183 | QS6,000 Women's Event | 38 | Magnien,Jade | FRA |
184 | QS6,000 Women's Event | 39 | Hirata,Saho | JPN |
185 | QS6,000 Women's Event | 40 | Legati,Giada | ITA |
186 | QS6,000 Women's Event | 41 | Ryan,Nyxie | AUS |
187 | QS6,000 Women's Event | 42 | Fensom,Natalie | AUS |
188 | QS6,000 Women's Event | 43 | Pietramale Sewell,Wyana | AUS |
189 | QS6,000 Women's Event | 44 | Ishii,Arisa | JPN |
190 | QS6,000 Women's Event | 47 | Kim,Kai | CAN |
191 | QS6,000 Women's Event | 48 | Harin,Lee | KOR |
192 | QS6,000 Women's Event | Young,Sarah | AUS | |
193 | QS6,000 Women's Event | Huppatz,Isla | AUS | |
194 | QS6,000 Women's Event | Oota,Jun | JPN | |
195 | QS6,000 Women's Event | Huppatz,Mia | AUS | |
196 | QS6,000 Women's Event | Viju,Kim | KOR | |
197 | QS6,000 Women's Event | Lee,Da In | KOR | |
198 | QS6,000 Women's Event | Buckpitt,Keira | AUS | |
199 | QS6,000 Women's Event | Joobin,Shin | KOR | |
200 | LQS 1000 Women's Event | 1 | Taoka,Natsumi | JPN |
201 | LQS 1000 Women's Event | 2 | Yoshikawa,Hiroka | JPN |
202 | LQS 1000 Women's Event | 3 | Park,Soojin | KOR |
203 | LQS 1000 Women's Event | 4 | Del Torre,Daisy | PHL |
204 | LQS 1000 Women's Event | 5 | Liu,Beckie | SGP |
205 | LQS 1000 Women's Event | 6 | Hana,Yamaguchi | JPN |
206 | LQS 1000 Women's Event | 7 | Novitasari,Dhea | INA |
207 | LQS 1000 Women's Event | 8 | Song,Hyehyun | KOR |
208 | LQS 1000 Women's Event | 9 | Lee,Yeryong | KOR |
209 | LQS 1000 Women's Event | 10 | Harada,Koa | JPN |
210 | LQS 1000 Women's Event | 11 | Sakakibara,Yoriko | JPN |
211 | LQS 1000 Women's Event | 12 | Kang,Eunsoo | KOR |
212 | LQS 1000 Women's Event | 13 | Valdez,Kaila | PHL |
213 | LQS 1000 Women's Event | 14 | Lopez,Mara | PHL |
214 | LQS 1000 Women's Event | 15 | Jo,Sookyoung | KOR |
215 | LQS 1000 Women's Event | Ishibashi,Sarasa | HAW |